백화점 단어의 유래

백화점(百貨店, Department Store)의 어원은 독일어 ‘갖가지 종류의 상품을 취급하는 집’이라는 의미인 ‘Warenhauser’이다.[1] 영어의 Department Store는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부서를 찾아가라는 의미다. 한자어 백화점은 청나라 시대에 '만화점'에 방문한 황제가 찾는 물건이 없자, '백화점'으로 이름을 고치라고 한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 예부터 거의 모든 물건을 취급하고 있는 의미로 통일되었다.


백화점

앞의 백화점 단어의 유래에서 부터 보았듯이 백화점은 다양한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백화점을 일종의 '작은 시장'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듯하다. 백화점은 시대에 따라 단순히 다양한 물건을 취급하는 곳이 아니라, 판매장소는 물론이고 연극, 영화, 등의 여가와 편의시설까지 갖춘 일종의 '거주민이 없는 마을'처럼 변하였다. 백화점은 우리 사회에서 많은 기능을 하고 있는데, 단순한 물건 판매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경제, 사회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한다.

경제 - 제품 유통, 소비의 장소

사회 - 고급문화의 대중화에 기여, 지역발전, 근대화

우리나라의 발전의 경우, 우리나라 자체에서 천천히 발전한 것이 아닌 서구문물을 수용하면서 급진적으로 발달 하였기 때문에 백화점의 경우에도 천천히 발달한 미국, 일본과 달리 급진적으로 발전했다는 특징이 있다.


백화점의 규모와 성장률

 2014년 한국 전체 유통시장 규모는 250조원 규모이고, 그 중 백화점 시장의 규모는 30조원으로 업계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3대 백화점들은 롯데, 현대, 신세계 이다.


백화점의 유통구조

다음은 제화업체의 유통구조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177219


백화점의 마케팅

1. 물품 층별 배치

2. 몰링(malling)

3.vip회원 관리

4. 심리마케팅

Posted by 써뭔
,

겨울 방학 소논문


주제 : 의류산업의 유통판로와 점유율


목차

서론

 -  우리 일상의 의류 유통 채널

 - 유통 구조 점유율의 현실

본론

- 의류 채널 분석

- 아울렛, spa 백화점, 로드샵, 인터넷

- 채널 분석(주요 고객, 마케팅 방법, 매장의 위치, 등...)

- 4대 의류기업의 유통 체계

- 유명 디자이너의 유통 체계

- 신진 디자이너의 의류 유통 방식(무명에 대하여)

- 소비자 설문조사


결론

'PROJECT-HS > 디자이너 판로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류 유통방식 1. 아웃렛  (0) 2014.12.30
Posted by 써뭔
,

사진작가 스콧 슈만의 블로그



오늘 소개해드릴 패션블로거는 여러분이 다들 아시는 사토리얼리스트에요!

사실 사토리얼리스트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블로그이기 때문에

작가가 직접 찍은 사진들이 책으로 발간되기도 했죠.


스콧슈만의 더 사토리얼이스트 믈로져


책의 구성은 사진작가의 책인 만큼 사진이 주를 이루고 있어요,

 글이 정말 거의 없다는것이 특징이고, 

다양한 스타일을 찾을 수 있어요 .


백문이불여일견이라고 직접 방문하는 것이 

사토리얼리스트의 매력을 아는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적어도 사진을 찍는 사람이 어떤사람인지 알고 본다면 블로그를 구경하시는데 좀 더 새로운 

느낌이 드실거에요.

영상을 보다보면 정말 멋진 작가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저도 언젠가 스콧 슈만처럼 다양한 사람들의 문화를 담는 사람이 되고 싶네요 ㅎㅎ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사진 몇장 가져와 봤어요.

비록 제가 고른 사진에서 통일성은 보이지 않겠지만,

모든 사진의 공통점은 거리의 모습이 자연스럽게 담겨 있다는 것!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사진. 


이 사진 마치 영화 포스터 같지 않나요 ㅎㅎ

여기까지 작가의 사진들을 보셨는대요, 수많은 사진중 일부이지만 작가가 가지고 있는 구도감과 사람들의 일상과 다양한 스타일을 담은 사진이 멋들어지죠ㅎㅎ


여기까지 

the satorialist 포스팅이었습니다.


더 사토리얼리스트


로고를 누르시면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Posted by 써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