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 유통방식 1. 아웃렛
1. 아울렛
아웃렛(outlet)[명사] 상설 할인 판매점.
아울렛(outlet)은 일정한 기획의도에 따라 흔히들 말하는 B급 제품을 한자리에 모아 싸게 판매하는 형태로 자사제품 그리고 직매입한 상품을 잔품처리 목적으로 염가판매하는 상설 소매점포를 말한다.
최근에는 롯데프리미엄아웃렛등 많은 백화점에서 아웃렛을 운영하고 있다. 백화점에서 운영하는 아웃렛들은 프리미엄아웃렛으로써 운영되며 약 40~150개의 중고가 브랜드들이 입점하여 있다. 많은 브랜드 수로 인하여 거의 마을 수준이며, 상설할인 매장인 만큼 평균 40~60%의 할인율을 자랑한다. 프리미엄 아웃렛에서는 대게 낮은 층은 갭, 나이키 등의 중고가 브랜드가 위치해있고, 중간층은 다양한 고가 브랜드, 그리고 위층에는 다양한 편의시설들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일부 아웃렛에서는 넓은 부지를 활용한 일종의 플리마켓을 운영하고 있다.
- 필자는 최근에 직접 프리미엄 아웃렛을 방문해 보았다. 앞서 설명했다시피 아웃렛에서는 수많은 브랜드들이 입점하여 있었고, 비교적 싼가격에 제품을 구매할 수 있었다.
필자가 방문한 아웃렛은 1층에 중저,중고가 브랜드, 2층-고가 브랜드 3층에 푸드코트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Q. 고가브랜드를 낮은층에 위치시키면 소비자들이 자연스럽게 중고가 브랜드를 보러가며 고가 브랜드 매장도 거치게 될텐데, 왜 위층에 위치시킨것인가?
의견
1. 차별화 전략 -
고가 브랜드는 어차피 모든 소비자가 구매하지 않고 그만큼의 경제력을 갖춘
사람들만 방문하는데 , 이들을 위층에 배치하여 인적을 드물게 함으로써 고소득층의 소비자들이 편안하게 쇼핑하고, 소비자가 우월하다는 느낌을 들게함.
2. 역차별화
고가 브랜드의 경우 위층에 위치하는데, 이러한 고가 매장들이 아웃렛에 위치할 경우, 높은 할인률을 자랑하기 때문에 좀 더 많으 소비자가 고가의 제품을 구매하고자 욕심을 낼 수 있음, 이러한 심리로 평소 구매력이 되지 않아도 높은 할인율을 책정함으로써 위층으로 방문하도록 더욱 효과적인 유인이 될 수 있음.
SPA와 아웃렛의 비교
SPA |
아웃렛 |
- 중간유통 과정이 없음. - 유행에 민감하게 제품 변화가 가능함 - 낮은 가격 - 유니클로, 탑텐등 높은 인지도 - 빠른 순환만큼 재고가 쌓이는 속도가 빠름. - 디자인이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나 한계가 있음. - 최근에는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SPA도 생겨나고 있음. - 낮은 품질 |
- 다양한 브랜드의 입점 - 상설할인 및 다양한 이벤트 - 편의시설 구비(고객들의 발을 묶음) - 비싼 편의시설 - 고품질의 제품을 싸게 이용 가능함. - 높은 할인률 - 비교적 높은 품질 - 프리미엄 아웃렛에 경우 껍질만 아웃렛인 경우가 있음 - 유행에 뒤쳐진 상품들이 주를 이룸. |
우리나라에서 아웃렛의 예상 전망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며 미국과 일본 모두에서 의류 소비는 합리적으로 전환되었다. 의류의 합리적인 소비를 흡수한 채널이 미국과 일본에서 다르다. 미국은 아울렛이 합리적 소비를 효과적으로 흡수한 반면, 일본은 중저가 SPA가 고성장하였다. 당사는 미국과 일본의 이러한 차이가 대형 유통업체의 출점을 제한했던 일본의 규제가 원인이다. 따라서 의류 관련한 분야에서 출점 규제가 존재하지 않는 우리나라는 일본보다는 미국과 유사한 의류 유통업태의 변화를 겪게될 전망이다. 중저가 SPA의 성장보다는 아울렛의 고성장을 예상한다. 아울렛이 공급하는 제품이 중저가 SPA가 공급하는 제품보다 높은 경제성장기에 높아진 눈높이를 충족시키면서 가격이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출처 - 키움 증권 산업분석(유통/의류)